외국인 본인 인증, 이제 여권 기반으로 전환… 아르고스, 해외 송금 사업자를 위한 솔루션 제시
안녕하세요.
AI 기반의 아이덴티티 플랫폼 아르고스 아이덴티티(ARGOS Identity)입니다.
아르고스 아이덴티티는 정부의 해외송금 내역 통합 관리 시스템 추진과 외국인 본인확인 방식의 여권 기반 eKYC 전환에 발맞춰, 해외송금 사업자를 위한 글로벌 KYC 서비스를 제시하며 변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해외송금 통합 관리 시스템(ORIS) 추진에 '여권 기반 eKYC' 전환 필수
■ ARGOS 'ID check', 4,000여 종 신분증 인식 및 글로벌 KYC 최적화
■ 글로벌 사용자에게 안전한 신원 인증 경험 제공
현재 국내에는 약 26곳의 소액 해외송금업체가 등록되어 있어, 개인이 여러 업체를 이용해 소액으로 분산 송금할 경우 현황 파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정부는 외화 유출 감시를 강화하기 위해 내년 1월부터 가동 예정인 은행, 핀테크, 카드사, 증권사 등 비(非)은행권의 해외송금 내역을 통합 관리하는 해외송금 통합 관리 시스템(ORIS) 구축을 추진 중이다.
(중략)
ORIS 도입과 외화 유출 감시 강화 흐름에 맞춰, 외국인 본인 인증 방식 역시 규제 변화의 대상에 해당된다. 기존의 외국인 등록번호는 내국인의 주민등록번호와 유사하게 국내 체류 외국인 식별용으로 사용되어 국제적 호환성 부족 등 제약과 시스템적 한계가 존재했다.
특히, '해외송금 통합 관리 시스템(ORIS)' 역시 개인 식별을 위한 고유식별 번호로 여권번호를 활용해 여권 기반 인증 시스템 구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규제 대응 요소이다.
ARGOS의 신원 인증 솔루션은 전 세계 4,000여 종 이상의 신분증 뿐만 아니라 여권까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위·변조 탐지, 얼굴 인식, OCR, 중복 계정 차단 등 기능을 통해 외국인 신원 확인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한다. 또한 GDPR 등 글로벌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면서 금융·플랫폼 사업자가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데 기여한다.
ARGOS는 이미 해외송금 분야에서 검증된 eKYC 운영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그중
글로벌 외환 토탈 솔루션 기업 센트비(SentBe)에 ID check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가별로 상이한 신분증 포맷을 자동 인식함으로써 다국적 고객이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했다. 한국에서 센트비를 이용해 송금하는 외국인 고객에게는 핵심 신분증인 여권은 물론, 외국인 등록증을 통한 신원 인증까지 폭넓게 지원하고 있다.
테크월드 기사에서 발췌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기사) : https://www.epn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4338
지금까지 아르고스였습니다. 감사합니다.